리눅스 현재 날짜와 시간으로 파일/디렉터리 생성 현재 날짜 지정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할 때 이름을 현재 시간으로 지정하여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백업 용도로 파일을 저장할 때 현재의 시간과 날짜를 지정하여 생성하면 백업 시점을 알 수 있어 편리합니다. 현재 날짜와 시간으로 디렉터리와 파일 생성 명령어 현재 날짜로 파일 생성 touch $(date + '%Y-%m-%d') 현재 날짜와 시간으로 파일 생성 touch $(date + '%T-%m-%d.%H:%M:%S') 현재 날짜와 시간으로 디렉터리 생성 mkdir backup_$(date + '%Y%m%d.%H:%M') 생성 방법과 규칙 파일이나 디렉터리 생성 시 지정하고 싶은 이름에서 날짜와 시간을 위치시키고 싶은 자리에 $() 내부 명령어를 이용하여 생성 또한 날짜 사이에 -나 :등 넣고.. Linux 3년 전
diff 명령어 정리 diff 명령어 정리 더 많은 정보와 설명은 https://jhnyang.tistory.com/220 diff 명령어는 두 파일에 대한 차이점을 알려주는 명령어입니다. 소스 코드나 문서를 수정하고 이전 파일과 달라진 점이나 다른 사람이 작성한 코드와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diff 사용 방법 기본적인 사용법 diff {filename1} {filename2} 두 파일이 다르면 결과 출력 기호는 왼쪽 파일에는 없고 오른쪽 파일에는 있는 경우 첫 줄에 나오는 숫자는 내용이 다른 라인을 나타냄 세 파일을 비교하는 경우 diff3 {filename1} {filename2} {filename3} 첫 줄에 나오는 ====는 내용이 다른 파일을 나타내는 줄로 3파일이 모두 다른 것을 나타냅니다. 다.. Linux 3년 전
wget 명령어 옵션 정리 wget 명령어 정리 wget은 웹 상의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HTTP, HTTPS, FTP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wget 옵션 기본적인 사용법 wget https://cdn.kernel.org/pub/linux/kernel/v4.x/linux-4.17.2.tar.xz -O 옵션 받은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설정한 이름으로 저장하는 옵션 wget -O linux_kernel.tar.xz https://cdn.kernel.org/pub/linux/kernel/v4.x/linux-4.17.2.tar.xz --limit-rate 옵션 다운로드 시 속도를 제한하는 옵션 wget --limit-rate=200k https://cdn.kernel.org/pub/linux/kernel/v4.x/lin.. Linux 3년 전
Ubuntu apt-get update error 우분투 apt-get update 오류 우분투에서 apt-get update 명령 시 발생하는 오류 해결 방법입니다. 발생 오류 Ubuntu를 설치한 후 패키지들을 설치하기 전에 apt-get update 명령을 수행하는데 저장소에 접근을 못하거나 속도가 나오지 않아 위 그림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해결 방법입니다. 해결 방법 저는 1번 방법으로는 해결이 안되고 2번 방법으로 바로 해결했습니다. 1번 방법은 여러 블로그에서 소개를 하여 작성했는데 2번을 바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저장소 변경 sudo vi /etc/apt/sources.list 해당 파일에 있는 내용을 다른 저장소로 변경한다. :%s/{현재 저장소}/{바꿀 저장소}/g 예시 : %s/arhive.ubuntu.com/ftp.. Linux 3년 전
VirtualBox CentOS 초기 환경 설정 VirtualBox CentOS 환경 설정 VirtualBox에 CentOS를 설치한 후에 sudo 명령어 설정과 마우스, 단축키 등을 사용하기 위한 기본 설정 내용입니다. Sudo 설정 su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root 계정으로 접속 vi /etc/sudoers ... root ALL=(ALL) ALL {user_name} ALL=(ALL) ALL ... CentOS 화면 및 마우스 설정 개발 툴 설치 $ sudo yum update kernel* $ sudo yum install kernel sources $ sudo yum install kernel-devel $ sudo yum groupinstall "Development Tools" Virtual Box 메뉴에서 장치 - 클립보드 공.. Linux 3년 전
Linux vi 편집기 명령어 정리 vi 편집기 명령어 리눅스나 유닉스의 vi 편집기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정리입니다. 명령 모드 아무것도 입력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하는 명령어 i : 현재 커서 앞에 위치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 a : 현재 커서 뒤에 위치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 x : 현재 커서에 위치한 글자 삭제 dd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 잘라내기 u : 명령 취소 p : 붙여넣기 G : 파일의 끝으로 이동 gg : 파일의 처음으로 이동 마지막 행 모드 클론 :을 누른 상태에서 입력하는 명령어 w : 파일 저장 q : 종료 q! : 강제 종료 wq : 저장하고 종료 wq! : 저장하고 강제 종료 숫자입력 : 해당 숫자 라인으로 커서 이동 set nu : 옆에 라인 번호 출력 set nonu : 라인 번호 출력 취소 /문자열.. Linux 3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