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ssh 접속

category Linux 2022. 7. 14. 18:42

ssh 접속

리눅스

  • 클라이언트에서 키 생성

    • ssh-keygen
      • 모두 enter를 입력하여 key 생성
    • /home/user/.ssh에 key 파일 생성됨
      • 개인키 - id_rsa
      • 공개키 - id_rsa.pub
  • 서버로 공개 키 전송

    • ssh-copy-id <server_user>@<server_ip>
      •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한 id_rsa.pub을 서버의 /home/<server_user>/authorized_keys에 저장
    • ssh-copy-id 명령어 수행 과정
      • 서버 홈 디렉터리에 .ssh 디렉터리 생성
      • .ssh 디렉터리의 권한 700으로 변경
      • scp 명령을 이용해 공개키를 생성한 .ssh 디렉터리의 authorized_keys 파일로 복사
        • scp id_rsa.pub <server_user>@<server_ip>:/home/<server_user>/.ssh/authorized_keys
  • 서버 ssh 접속

    • ssh -i <client_private_key> <server_user>@<server_ip>

    • 만약 키가 필요없이 비밀번호로 접속이 가능하면 키 생성 없이 아래 명령어로 접속 후 비밀번호 입력

      • ssh <server_user>@<server_ip>

윈도우

  • 윈도우 환경에서는 PuTTYgen, git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 키를 생성
  • PuTTYgen을 사용한 경우
    • 공개키의 내용을 복사해 /home/<server_user>/.ssh/authorized_keys에 붙여넣고 개인키로 접속
  • git은 리눅스와 똑같이 사용
  • 리눅스 서버 접속 관련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 PuTTY
    • MobaXterm
    • xshell